암 치료에는, 종양을 외과 수술로 제거하거나, 항암제를 투여하거나, 방사선을 조사하는 치료법이 자주 사용되고 있으며, 또한, 몸에 구비된 면역을 사용하여 암세포를 공격하는 '면역요법'도 최근 주목받고 있는데, 뇌에 생기는 악성 종양의 일종인 '교모종'의 면역요법에 대해 알아보자.
교모세포종은 '글리오브라스토마'라고도 불리며, 뇌의 신경계를 구성하는 글리아 세포가 종양이 된 것으로, 가장 빈도가 높은 악성 뇌종양으로 알려져 있다. 교모아종은 연령을 불문하고 발병할 수 있으며, 그 종양은 발작, 언어 장애, 신체 마비 등을 일으켜 진단부터 사망까지 평균 1년 정도로 알려져 있다.
교모종 치료는 '최대한 안전한 절제', 즉 신경기능을 유지하면서 종양을 가능한 많이 외과수술로 제거한다는 치료법이 취해왔지만, 교모세포종은 뇌에 침윤하는 능력이 매우 높아 종양의 대부분을 제거해도, 다시 증식해 버리는 경우가 대부분이라고 한다.
매사추세츠 종합병원의 연구자는, 환자 자신의 T세포를 유전자 조작해, 그것을 직접 뇌척수액에 주입하는 새로운 치료법의 임상실험을 실시.
T세포는 세균이나 바이러스, 기생충 등의 병원체를 물리치는 면역세포인데, 보통 암세포에 효과가 없다. 그래서 연구자들은 환자의 혈액에서 T세포를 추출해, 그 DNA를 암세포에 반응하는 'CAR-T세포'로 설계했다.
CAR-T 세포는 교모세포종의 암세포 표면에 있는 특정 단백질에 반응하도록 설계되었는데, 'CAR-T 세포로 암세포를 공격한다'는 아이디어 자체는 오래전부터 연구되어 왔고, 연구자들도 몇 년 동안 실험과 조사를 거듭했다.
임상시험 결과, 임상시험 피험자였던 74세 남성은 재발성 교모종을 앓고 있었음에도, 며칠 만에 종양이 거의 완전히 소멸돼 있었던 것으로 알려으며, 매사추세츠 종합암센터 소장은 "그 순간 암의 이해와 치료 도구에 혁명이 일어났습니다"고 말하고 있다.
다만, 연구자들이 연구하는 면역 요법에는 「고비용」, 「복잡한 프로세스」, 「한번에 한정된 환자 밖에 치료할 수 없다」, 「장기적인 효과가 분명하지 않다」라고 하는 문제가 있고, 또 임상시험 피험자는 완치된 것이 아니라, 종양이 사라진 지 수개월이 지나면 재발하거나 약의 부작용으로 소화관 천공이 일어나는 경우가 확인되고 있다는 것.
그럼에도 연구자들은, CAR-T 세포를 이용한 면역요법이 교모세포종 이외의 암에도 응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하고 있으며, 연구자들이 개발하는 치료법은 특히 그동안 치료가 어려웠던 암에 대한 새로운 희망으로도 주목받고 있다.